-
aws에서 톰캣 설치 후, WAR 배포개발기록/Linux 2019. 3. 22. 15:59
아 너므너므 개 삽질한 ..
그래! 남들 다 쉽게 했던 aws에서 tomcat war 배포!.....나는 개 삽질하느라 아주 그냥...
STS로 작업한 홈페이지를 aws에 배포해야 하는 어쩌면 아주 금방 끝날 것 같았던 이 일...
혹시나 aws에서 yum install로 해버려서 개고생하는 누군가를 위해 잊혀지지 않기 위해 작성한다.
여기서 포인트는 yum install로 설치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.
1. 먼저 ec2-user로 로그인이 필요.
2. tomcat을 설치할 폴더를 ec2-user 아래에 생성해준다. 나는 /home/ec2-user/tomcat 이라고 tomcat 폴더를 생성했다.
3. wget으로 tar.gz 파일을 다운받아 준다.
wget http://archive .apache.org/dis/tomcat/tomcat-8/v8.5.27/bin/apache-tomcat-8.5.27.tar.gz
톰캣 버전은, 위의 주소를 들어가서 원하는 버전의 경로로 맞춰주면 될것 같다.
잘 받아주면 아래와 같다.
4. 받아준 파일을 풀어준다.
tar xvfz apache-tomcat-8.5.9.tar.gz
5. 촤촤촤 압축이 풀리고 풀려진 톰캣 폴더가 생성 될 것이다. 요러케
6. 해당 톰캣 폴더에 들어가면 bin폴더가 있다. 여기서 tomcat을 실행 시켜준다.
./startup.sh
7. 해당 ip:8080으로 잘 뜨는지 확인해주고..(aws에서 보안쪽 8080포트 열어줘야 한다!) 다시 톰캣을 내려준다.
./shutdown.sh
8. tomcat 폴더의 하위 webapps 폴더에 배포할 war를 업로드 해주고, 톰캣을 ./startup.sh 해주면 아래와 같이 war가 배포된걸 확인 할 수있다.
9. war명으로 ip:8080/war명/index 확인해보면 잘 배포된걸 알 수 있다.
10. 인터넷 검색해보면 다들 참 쉽죠잉~하면 되는 배포가 나는 왜 이렇게 시간이 걸렸냐 하면,ㅜ ㅜ
yum install 로 하면 tomcat의 소유자가 tomcat이나, 실행할 때는 권한이 없어서 배포가 안되는 상황 발생(추측이다)
뭐 sping jdbc 버전때문인지, 버전바꿔, 자바버전 바꿔 권한 줘... 별 짓을 다했는데..에러를 보려고 해도 심지어 log도 안찍히는것 같고요...
yum install 도 root의 권한을 빌리거나 root로 계정을 바꿔서 작업을 해도, 톰캣 배포는 일단 권한에서 막히는것 같았다.
배포가 되서 폴더가 생겨도 404페이지만 발생....
리눅스 일반 tomcat 설치와는 좀 다른 것 같아 포스팅 작성한다.
제가 써도 뭔소린지 모르겠는데..aws에서 배포하는게 처음이신 분들은...ㅠ ㅠ ec2-user로 wget 으로 받으세영..
저처럼 시간을 터무니 없이 쓰진 말기를..
'개발기록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리눅스 인터넷이 안되는 환경에서 python 설치하기 (0) 2018.08.26